Skip to content

Commit a7c5776

Browse files
authored
Merge pull request #97 from wholemann/reinforce-readme
Reinforce README
2 parents 74b2a03 + 6789060 commit a7c5776

File tree

4 files changed

+61
-24
lines changed

4 files changed

+61
-24
lines changed

README.md

Lines changed: 61 additions & 24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28,13 +28,22 @@
2828
### 새 저장소 만들고 시작하기
2929

3030
```bash
31+
mkdir <생성하고 싶은 디렉토리 이름>
32+
cd <생성한 디렉토리 이름>
3133
git init
34+
35+
# 예)
36+
~ $ mkdir test
37+
~ $ cd test
38+
~/test $ git init
3239
```
3340

3441
### 원격 저장소를 가져와서 시작하기
3542

3643
```bash
3744
git clone <원격 저장소 주소>
45+
46+
# 예)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wholemann/daily-coding-dojo.git
3847
```
3948

4049
### Sourcetree에 저장소 폴더 추가하기
@@ -57,55 +66,76 @@ git remote
5766
git remote -v
5867
```
5968

60-
![images/0.png](images/0.png)
61-
62-
- upstream - 공용 repository(보통 팀 repo)
63-
- origin - 공용 repository 를 내 계정에 fork한 repository
64-
6569
### origin 원격 저장소 추가
6670

6771
주의) clone으로 원격 저장소를 가져오면 origin 원격 저장소가 이미 추가된 상태입니다.
6872

6973
아래는 git init 후 수동으로 원격 저장소를 추가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7074

7175
```bash
72-
git remote add origin <원격 저장소 주소>
76+
git remote add origin <계정의 repository 주소>
7377

7478
git fetch origin
7579
```
7680

7781
### upstream 원격 저장소 추가
7882

7983
```bash
80-
git remote add upstream <공용 원격 저장소 주소>
84+
git remote add upstream <PR을 보낼 원격 repository 주소>
8185

8286
git fetch upstream
8387
```
8488

85-
### git fetch
89+
## Pull Request를 이용한 협업 시작하기
8690

87-
[fetch(가져오기)【원격 저장소】 |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Git 입문~버전 관리를 완벽하게 이용해보자~ | Backlog](https://backlog.com/git-tutorial/kr/stepup/stepup3_2.html)
91+
![triangular-workflows](images/triangular-workflows.png)
8892

89-
## 협업 시작하기
93+
- upstream - PR을 보내고 싶은 repository(회사에선 우리팀 repository)
94+
- origin - upstream에서 내 계정으로 fork한 repository
9095

9196
### Step #0
9297

98+
먼저 PR(Pull Request)를 보내고 싶은 repository를 fork 합니다.
99+
fork를 하면 본인 계정의 GitHub에 동일한 repository가 복사됩니다.
100+
101+
![github-fork](images/github-fork.png)
102+
103+
내 계정에 동일한 repository가 복제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이미지처럼 초록색 버튼을 클릭하면
104+
나오는 창에서 주소를 복사합니다.
105+
106+
![forked-repository](images/forked-repository.png)
107+
108+
복사한 주소를 이용하면 내 로컬 머신에서 clone 할 수 있습니다.
109+
110+
주의) clone으로 원격 저장소를 가져오면 origin 원격 저장소가 이미 추가된 상태입니다.
111+
93112
```bash
94-
git clone <fork된 내 GitHub repository 주소>
113+
git clone <내 계정에 fork된 repository 주소>
95114

96-
git remote add upstream <공용 원격 저장소 주소>
115+
git remote add upstream <PR을 보낼 원격 repository 주소>
97116

98-
git remote -v
117+
# 예)
118+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wholemann/git-training.git
119+
120+
git remote add upstream https://github.com/CodeSoom/git-training.git
99121
```
100122

101-
upstream과 origin이 아래와 같은지 확인합니다.
123+
PR을 보내는 과정에서 원격 저장소는 upstream. origin 2개가 필요합니다.
124+
로컬 머신(내 컴퓨터) 관점에서 보면 내 계정의 repository도 원격이고,
125+
upstream의 repository도 원격입니다.
102126

103-
- upstream - 공용 repository(보통 팀 repo)
104-
- origin - 공용 repository 를 내 계정에 fork한 repository
127+
- upstream - PR을 보내고 싶은 repository(회사에선 우리팀 repository)
128+
- origin - upstream에서 내 계정으로 fork한 repository
105129

106-
git status
130+
`git remote -v` 를 통해 upstream과 origin이 아래와 같은지 확인합니다.
107131

108-
(git status는 수시로 해주는 게 좋습니다. 내가 의도한 작업이 수행 됐는지 수시로 확인합니다.)
132+
```bash
133+
~/codesoom/git-training $ git remote -v
134+
origin git@github.com:wholemann/git-training.git (fetch)
135+
origin git@github.com:wholemann/git-training.git (push)
136+
upstream git@github.com:CodeSoom/git-training.git (fetch)
137+
upstream git@github.com:CodeSoom/git-training.git (push)
138+
```
109139

110140
### Step #1 - 작업 브랜치 만들기
111141

@@ -119,8 +149,16 @@ upstream/main는 붙여서 쓰고, 가운데 슬래시(/)가 들어갑니다.
119149

120150
### Step #2 - upstream 원격 저장소의 최신 상태를 반영하기
121151

152+
#### git fetch
153+
154+
[fetch(가져오기)](https://backlog.com/git-tutorial/kr/stepup/stepup3_2.html)
155+
156+
#### git rebase
157+
158+
[rebase로 병합하기](https://backlog.com/git-tutorial/kr/stepup/stepup2_8.html)
159+
122160
```bash
123-
git fetch upstream main
161+
git fetch upstream
124162

125163
git rebase upstream/main
126164
```
@@ -238,7 +276,7 @@ git switch main
238276
#### 최신 코드 반영
239277

240278
```bash
241-
git fetch upstream main
279+
git fetch upstream
242280

243281
git rebase upstream/main
244282
```
@@ -287,13 +325,12 @@ git branch -D <브랜치 이름>
287325
git push origin :<브랜치 이름>
288326
```
289327

290-
## PR 트레이닝
328+
## PR 트레이닝 미션
291329

292330
[https://github.com/CodeSoom/git-training](https://github.com/CodeSoom/git-training)
293331

294-
위 repo를 공용 repository로 하여
295-
각자 이니셜로 만든 문서 파일(e.g. `csh.md`)을 추가하여
296-
332+
[Pull Request를 이용한 협업 시작하기](#Pull-Request를-이용한-협업-시작하기)를 참고하여,
333+
각자 이니셜로 만든 문서 파일(예) `csh.md`)을 추가하여 위의 repository에
297334
Pull Request를 날려봅니다.
298335

299336
## 참고 자료

images/forked-repository.png

362 KB
Loading

images/github-fork.png

251 KB
Loading
File renamed without changes.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