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Commit 58a5839

Browse files
docs: translate createRoot.md (#1271)
<!-- PR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! 여러분과 같은 기여자들이 React를 더욱 멋지게 만듭니다! 기존 이슈와 관련된 PR이라면, 아래에 이슈 번호를 추가해주세요. --> # createRoot 번역 누락 항목 작업 - 링크 : https://ko.react.dev/reference/react-dom/client/createRoot - 이슈 : #1260 - 변경사항 미리보기 <img width="939" height="463" alt="스크린샷 2025-08-13 21 40 25" src="https://github.com/user-attachments/assets/726a67e0-3582-40d7-839c-44535cece0f6" /> <img width="979" height="516" alt="스크린샷 2025-08-13 21 46 54" src="https://github.com/user-attachments/assets/49d21307-0ee4-44eb-8928-bbef9ec902f8" /> ## 필수 확인 사항 - [x] [기여자 행동 강령 규약<sup>Code of Conduct</sup>](https://github.com/reactjs/ko.react.dev/blob/main/CODE_OF_CONDUCT.md) - [x] [기여 가이드라인<sup>Contributing</sup>](https://github.com/reactjs/ko.react.dev/blob/main/CONTRIBUTING.md) - [x] [공통 스타일 가이드<sup>Universal Style Guide</sup>](https://github.com/reactjs/ko.react.dev/blob/main/wiki/universal-style-guide.md) - [x] [번역을 위한 모범 사례<sup>Best Practices for Translation</sup>](https://github.com/reactjs/ko.react.dev/blob/main/wiki/best-practices-for-translation.md) - [x] [번역 용어 정리<sup>Translate Glossary</sup>](https://github.com/reactjs/ko.react.dev/blob/main/wiki/translate-glossary.md) - [x] [`textlint` 가이드<sup>Textlint Guide</sup>](https://github.com/reactjs/ko.react.dev/blob/main/wiki/textlint-guide.md) - [x] [맞춤법 검사<sup>Spelling Check</sup>](https://nara-speller.co.kr/speller/) ## 선택 확인 사항 - [ ] 번역 초안 작성<sup>Draft Translation</sup> - [ ] 리뷰 반영<sup>Resolve Reviews</sup> --------- Co-authored-by: 루밀LuMir <rpfos@naver.com>
1 parent 72b42b8 commit 58a5839

File tree

1 file changed

+16
-16
lines changed

1 file changed

+16
-16
lines changed

src/content/reference/react-dom/client/createRoot.md

Lines changed: 16 additions & 16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88,12 +88,12 @@ React는 `root`에 `<App />`을 표시하고 그 안에 있는 DOM을 관리합
8888
8989
* 동일한 루트에서 `render`를 두 번 이상 호출하면, React는 필요에 따라 DOM을 업데이트하여 사용자가 전달한 최신 JSX를 반영합니다. React는 이전에 렌더링 된 트리와 ["비교"](/learn/preserving-and-resetting-state)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부분과 다시 만들어야 하는 부분을 결정합니다. 동일한 루트에서 `render`를 다시 호출하는 것은 루트 컴포넌트에서 [`set` 함수](/reference/react/useState#setstate)를 호출하는 것과 비슷합니다. React는 불필요한 DOM 업데이트를 피합니다.
9090
91-
* Although rendering is synchronous once it starts, `root.render(...)` is not. This means code after `root.render()` may run before any effects (`useLayoutEffect`, `useEffect`) of that specific render are fired. This is usually fine and rarely needs adjustment. In rare cases where effect timing matters, you can wrap `root.render(...)` in [`flushSync`](https://react.dev/reference/react-dom/flushSync) to ensure the initial render runs fully synchronously.
92-
91+
* 렌더링이 시작된 이후에는 동기적으로 실행되지만, `root.render(...)` 자체는 비동기적입니다. 즉, `root.render()` 이후에 작성된 코드가 해당 렌더링의 `useLayoutEffect` `useEffect`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이러한 동작도 문제 없이 잘 작동하며, 대부분 수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 다만, Effect의 실행 순서가 중요한 경우에는 [`flushSync`](/reference/react-dom/flushSync)`root.render(...)` 호출을 감싸면 초기 렌더링이 완전히 동기적으로 실행되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.
92+
9393
```js
9494
const root = createRoot(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);
9595
root.render(<App />);
96-
// 🚩 The HTML will not include the rendered <App /> yet:
96+
// 🚩 HTML에는 아직 렌더링된 <App /> 내용이 포함되지 않습니다.
9797
console.log(document.body.innerHTML);
9898
```
9999
@@ -156,7 +156,7 @@ root.render(<App />);
156156
<html>
157157
<head><title>My app</title></head>
158158
<body>
159-
<!-- This is the DOM node -->
159+
<!-- 이것은은 DOM 노드입니다. -->
160160
<div id="root"></div>
161161
</body>
162162
</html>
@@ -315,7 +315,7 @@ root.unmount();
315315
316316
---
317317
318-
### Updating a root component {/*updating-a-root-component*/}
318+
### 루트 컴포넌트 업데이트하기 {/*updating-a-root-component*/}
319319
320320
같은 루트에서 `render`를 두 번 이상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. 컴포넌트 트리 구조가 이전 렌더링과 일치하는 한, React는 [기존 State를 유지](/learn/preserving-and-resetting-state)합니다. 다음 예시에서 입력 창에 어떻게 타이핑하든 관계없이, 매 초 반복되는 `render` 호출로 인한 업데이트가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음을 주목하세요.
321321
@@ -491,22 +491,22 @@ root.render(<App />);
491491
492492
---
493493
494-
### I'm getting an error: "You passed a second argument to root.render" {/*im-getting-an-error-you-passed-a-second-argument-to-root-render*/}
494+
### 오류 발생: "root.render에 두 번째 인수를 전달했습니다" {/*im-getting-an-error-you-passed-a-second-argument-to-root-render*/}
495495
496-
A common mistake is to pass the options for `createRoot` to `root.render(...)`:
496+
흔히 하는 실수는 `createRoot`의 옵션을 `root.render(...)`에 전달하는 것입니다.
497497
498498
<ConsoleBlock level="error">
499499
500500
Warning: You passed a second argument to root.render(...) but it only accepts one argument.
501501
502502
</ConsoleBlock>
503503
504-
To fix, pass the root options to `createRoot(...)`, not `root.render(...)`:
504+
해결 방법: 루트 옵션은 `root.render(...)`가 아니라 `createRoot(...)`에 전달하세요.
505505
```js {2,5}
506-
// 🚩 Wrong: root.render only takes one argument.
506+
// 🚩 잘못된 방법: root.render는 하나의 인자만 받습니다.
507507
root.render(App, {onUncaughtError});
508508

509-
//Correct: pass options to createRoot.
509+
//올바른 방법: 옵션은 createRoot에 전달합니다.
510510
const root = createRoot(container, {onUncaughtError});
511511
root.render(<App />);
512512
```
@@ -515,9 +515,9 @@ root.render(<App />);
515515
516516
### "대상 컨테이너가 DOM 엘리먼트가 아닙니다" 라는 오류가 발생합니다. {/*im-getting-an-error-target-container-is-not-a-dom-element*/}
517517
518-
This error means that whatever you're passing to `createRoot` is not a DOM node.
518+
이 오류는 `createRoot`에 전달한 값이 DOM 노드가 아니라는 뜻입니다.
519519
520-
If you're not sure what's happening, try logging it:
520+
무슨 상황인지 잘 모르겠다면, 해당 값을 콘솔에 출력해서 확인해 보세요.
521521
522522
```js {2}
523523
const domNode = 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;
@@ -542,20 +542,20 @@ root.render(<App />);
542542
이 오류는 `<Component />` 대신 `Component``root.render`를 호출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543543
544544
```js {2,5}
545-
// 🚩 Wrong: App is a function, not a Component.
545+
// 🚩 잘못된 방법: App은 컴포넌트가 아니라 함수입니다.
546546
root.render(App);
547547

548-
//Correct: <App /> is a component.
548+
//올바른 방법: <App />은 컴포넌트입니다.
549549
root.render(<App />);
550550
```
551551
552552
또는 함수를 호출한 결과 대신 `root.render`에 함수 자체를 전달했을 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553553
554554
```js {2,5}
555-
// 🚩 Wrong: createApp is a function, not a component.
555+
// 🚩 잘못된 방법: createApp은 컴포넌트가 아니라 함수입니다.
556556
root.render(createApp);
557557

558-
//Correct: call createApp to return a component.
558+
//올바른 방법: createApp을 호출하여 컴포넌트를 반환합니다.
559559
root.render(createApp());
560560
```
561561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